중국 미술계에서 농민과 농민공(农民工, 즉, 농민노동자)주제는 주요한 메뉴인데 이는 정치체제가 사회주의인것과 불가분하겠다. 아울러 1990년대부터 수많은 농민은 농민공으로 “전락”되었는데(현재 1억명 이상으로 추산) 이는 중국 경제개방정책의 산물이다. 농민과 농민공이 미술계에서 어떤 형상으로 등장하였는가는 상징계와실재의 관계문제이다. 즉 농민(농민공)은 시대마다 그 정치체제요구에 따라 왜곡되고 변형되고 전유되었다. 실재로서의 농민(농민공)은 상징계에 포획되는 한에서 농민(농민공)의 얼굴을 드러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은 재현되어지는 자이고 보여 지는 자이고 자신의 언어가 없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Filipich, C.P. / 2002 / A further study about the behavior of foundation piles and beams in a Winkler-Pasternak soil / Int. J. Mech. Sci 44 (1) :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