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제명
- 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전략 수립 연구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National Cancer Center
- 연구책임자
- 이덕형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10
- 과제시작년도
- 2014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사업 관리 기관
- 국립암센터 National Cancer Center
- 등록번호
- TRKO201600001012
- 과제고유번호
- 1465015245
- DB 구축일자
- 2016-05-14
- 키워드
- 암, 빅데이터, 정보, 관리Cancer, Big data, Information, Management
초록
Abstract
목차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표목차 ... 6
- 그림목차 ... 7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9
- 연구개발사업 최종연구개발결과보고서 요약문 ... 10
- Project Summery ... 11
- I. 연구 과제 개요 ... 13
- 1. 사업 추진 배경 ... 13
- 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 13
- 2) 관련 국내외 동향 ... 14
- 2. 사업 목적 및 범위 ... 22
- 1) 사업 추진 배경 및 필요성에 따른 추진 목표 ... 22
- 2) 중점 사업 범위 ... 22
- 3. 주요 사업 내용 및 방법 ... 23
- 1) 사업 추진의 기본 방향 ... 23
- 2) 중장기 추진 전략 및 내용 ... 24
- 3) 단계별 추진 내용 및 중점 사안 ... 26
- 4. 사업 추진을 위한 필수 인프라 ... 27
- 1) 암 빅데이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정보전산 시스템 ... 27
- 2) 암 빅데이터 센터 설립 및 운영 ... 33
- 5. 사업 추진체계 ... 36
- 6.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37
- 1) 암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점 추진 과제 발굴 지원 ... 37
- 2) 암 빅데이터를 활용한 성과 창출 방안 및 기대효과 ... 46
- Ⅱ. 연구(기획) 결과 ... 48
- 1. 국내외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례 분석 ... 49
- 1) 국내외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례 ... 49
- 2) 국내외 질환 중심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례 ... 56
- 2. 국내외 빅데이터 구축 활용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75
- 1)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성화 부족 ... 75
- 2)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선도 사례 필요 ... 76
- 3. 국외 국가단위 빅데이터 구축 및 운영 현황 분석 ... 77
- 1) 조직 구성 및 보유 인프라 ... 77
- 2) 운영 현황 ... 85
- 4. 암 빅데이터 구축의 제반 여건 점검 ... 91
- 1) 암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법 제도적 여건 ... 91
- 2)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의 여건 ... 100
- 3)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 관련 추진 경과 ... 114
- 5.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 방향 설정 ... 127
- 1)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의 추진 배경 ... 127
- 2)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선결 과제 ... 130
- 3) 국내 암 빅데이터 구축의 방향 ... 130
- Ⅲ. 사업 기획 내용 ... 132
- 1. 암 빅데이터 구축의 필요성 및 목표 ... 132
- 2. 암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및 내용 ... 132
- 1) 암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의 중장기 로드맵 ... 132
- 2) 초기 (15~19년) 세부 추진 전략 및 추진 내용 ... 137
- 3) 중장기 주요 추진 내용 ... 145
- 3. 암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운영 체계 ... 149
- 1) 정보전산 시스템 인프라 구성 ... 149
- 2) 운영 조직 및 운영 방안 ... 163
- 4. 사업 소요예산 추정 ... 173
- Ⅳ. 활용효과 및 기대효과 ... 174
- 1. 암 빅데이터 구축 시 활용계획 ... 174
- 1) 중점 활용 계획 ... 174
- 2. 암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의 기대효과 ... 197
- 1) 활용 통한 성과 창출의 기본 방향 ... 197
- 2) 암 빅데이터 활용의 기대효과 ... 198
- 3)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198
- Ⅲ. 첨부서류 ... 202
- 부처 및 기관별 보유자료 현황 ... 203
- 자료원별 및 활용용도별 자료 보유 현황 ... 206
- 끝페이지 ... 22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1. 결측값 대체 시스템 및 결측값 대체 방법
2. 이중 부하 분산을 이용한 메타데이터 검색 시스템 및 이중 부하 분산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3. 전기장치의 개별 소비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학습 방법
표/그림
참고문헌
1. Ministry of Education, Korea (2020). Direction of Education Policy and Key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2. Adadi, A., & Berrada, M. (2018). Peeking inside the black-box: a survey 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IEEE access, 6, 52138-52160.
3. Samek, W., Wiegand, T., & Muller, K. R. (2017).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visualizing and interpreting deep learning models. arXiv preprint arXiv:1708.08296.